한국의 무역
한국의 무역
  • 담당교수 : 최상오
  • 제작연도 : 4차년도(2024-2025)
  • 난이도 : 중급
  • 타겟 : 맞춤형
  • 영역 : 경제와 사회
  • 유형 : 일반
  • 시수 : 12강
  • 주제어
    대외무역, 외환제도, 수출진흥확대회의
강좌소개

한국경제는 해방이후 매우 빠르게 성장하였다. 한국의 성장 경험이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영국, 미국, 프랑스 등과 같이 일찍부터 경제발전의 선행조건을 축적해 온 선진국과 달리 19세기 후반에 세계경제에 편입되면서 근대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전형적인 후발국에서 출발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후발국의 지위에서 어떻게 한국이 빠르게 경제성장에 성공할 수 있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 것이 이 강좌의 목적이다.

이 강좌에서는 한국의 대외무역에 초점을 맞춰 한국경제가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원인을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볼 것이다. 첫째 시기는 한국 근대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는 19세기 후반의 개항기와 식민지 시기, 즉 해방 이전의 대외무역을 간략하게 설명할 것이다. 둘째 시기는 이 강좌의 중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 해방 이후에서 고도성장 기의 대외무역을 소개할 것이고, 마지막으로 세 번째 시기는 1980년대 이후의 무역에 대해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대표강사
최상오
1. 소속
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현 가천대학교

2. 최종 학력
성균관대학교 졸업(경제학박사)

3. 대표 연구

「한국에서 수출지향공업화정책의 형성과정- 1960년대 초 이후 급속한 수출 성장 원인에 대한 일 고찰 -」, 『경영사연구』25(3), 2010
「이승만 정부의 경제정책과 공업화 전략」, 『경제사학』35, 2003. 외 다수

가이드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