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역사 속의 수자원 활용
  • 담당교수 : 양선아
  • 제작연도 : 4차년도(2024-2025)
  • 난이도 : 초급
  • 타겟 : 범용성
  • 영역 : 역사와 민속
  • 유형 : 일반
  • 시수 : 12강
  • 주제어
    우물, 상수도, 하수도, 저수지, 보
강좌소개

물은 모든 생명체의 생존, 인류의 발전, 환경보전 등 지속 가능한 사회와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데 매우 중요한 자원이다. 물의 이용에 있어서 인간이 다른 생물과 구별되는 점은 생존을 위해 자연 상태의 물에 단순히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과 산업에 필요한 물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 문화적으로 향유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고안하고 그 기술을 전승해왔다는 데에 있다.

이 강좌는 수자원의 다양한 활용 중에서도 상수도 및 하수도, 그리고 농업용수를 중심으로 한국 역사 속에서 물이 어떻게 이용되어왔으며, 물을 다루는 기술과 정책이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를 살펴보고, 물의 이용과 관련된 생활문화의 양상까지 다루고 있다. 이 강좌의 시간적 범위는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이며, 수강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사례를 풍부하게 제시하였다.

대표강사
양선아
1. 소속: 전북대학교 쌀·삶·문명연구원
2. 최종 학력: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졸업(박사)
 3. 대표 연구
「1950~60년대 농촌 사람들의 고향 인식 ― 전북 임실 면 공무원의 일기와 편지를 중심으로 ―」, 『지역사회연구』 30(2), 2022; 「19세기 宮房의 干拓 - 扶安 三間坪 龍洞宮 庄土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 57, 2012. 외 다수
가이드북
week01.pdf (1 MB)
week02.pdf (1 MB)
week03.pdf (1 MB)
week04.pdf (1 MB)
week05.pdf (1 MB)
week06.pdf (1 MB)
week07.pdf (1 MB)
week08.pdf (1 MB)
week09.pdf (1 MB)
week10.pdf (1 MB)
week11.pdf (1 MB)
week12.pdf (1 MB)
exam.pdf (241 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