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총서

한국의 졸부적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 저자 : 한길수 지음 · 김수정 옮김
  • 출판사 : 도서출판 해남
  • 출간일 : 2023-04-27
소개

1. 핵심 내용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전례 없는 경제적 성공은 이민자와 한국 산업 내의 외국인 노동자 수를 크게 증가시켰다. 이제 다문화 사회가 된 한국에서 외국인들과 ‘새로운’ 한국인들이 겪은 차별과 인종주의 경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종에 관한 한국의 담론들은 공통적으로 한국인의 동질성과 순혈 민족주의 이슈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다문화주의에 대한 논의는 한국의 학문적 논의들과 정책적 틀은 물론, 다문화주의의 가장 근본적인 측면으로서 새로 온 사람들을 차별하기보다는 이들을 존중하는 수용국 국민들의 능력을 살펴볼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종차별에 대한 비판적 사실주의에 기초하여 한국 사회가 ‘새로운’ 또는 일시적인 한국인을 환영하지 못하게 만드는, 장기간 지속되어 온 제도적 요인들을 규명하였다.

상당한 분량의 뉴스 보도 자료들을 근거이론 방법론의 원칙에 따라 분류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한국인들이 ‘외국인’을 대할 때 졸부적 민족주의와 순혈 민족주의가 광범위하게 행해지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신흥 산업국이자 고도성장국가로서, 한국 사회는 여전히 과도기에 있으며 출신 국가의 경제 발전의 수준에 따라 외국인을 대우하고 있는 것이다.

2. 저자 및 역자 소개

한길수
현 호주 Monash University 교수
School of Media, Film and Journalism

Calculated Nationalism in Contemporary South Korea
Funeral Rites in Contemporary Korea
Nouveau-riche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in Korea 
외 다수

김수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 학사․석사․박사
현 강남대학교 참인재대학 교양교수부 조교수
문화사회학, 한류사회학, 문화정책 연구

예술의 사회학적 읽기(공저)

한국 문화정책에서의 문화 개념에 관한 연구
1960~1970년대 한국 문화정책에 대한 재고찰
외 다수

3. 차례

추천사
한국어판 서문
서문
감사의 말
차례

제1장 들어가며
  1. 연구방법에 대한 간략한 설명
  2. 자료의 출처: 미디어 내러티브
  3. 책의 구성

제2장 인종차별에 대한 이론적 관점들
  1. 사실주의 사회과학
  2. 개념적 틀: 인종차별에 대한 사실주의적 관점을 향하여
  3. 졸부적 민족주의/인종주의
  4. 한국에서 차별적인 문화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현상들
  5. 역사적 측면: 민족성과 한국 민족
  6. 지역적 적대감(지역감정) 또는 지역주의
  7. 순수 혈통주의와 혈연관계(순혈주의)
  8. 유교 중심의 한국 문화
  9. 민족주의의 정치화
  10. 학력 존중주의 또는 학문 자격주의(학벌주의)
  11. 졸부적 민족주의/인종주의 촉발

제3장 한국의 인종차별금지법 제정 투쟁: 반체제적인 민중의 시각
  1. 배경
  2. 문헌 고찰
  3. 다른 OECD 국가들과 한국의 인종차별금지법
  4. 연구방법
  5. 결과
  6. 논의 및 결론

제4장 이주 노동자들: 현대판 노예
  1. 문헌 고찰과 배경
  2. 현대 한국 사회의 졸부적 민족주의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제5장 한국의 민족주의와 외국 출신 전문인
  1. 문헌 고찰과 배경
  2. 이론적 관점들
  3. 연구방법
  4. 결과
  5. 논의 및 끝맺는 말

제6장 국제결혼의 자녀들: 미래의 자산인가 아니면 단순한 차별의 대상인가?
  1. 문헌 고찰
  2. 연구방법
  3. 분석 결과 및 논의
  4. 혼혈인에 대한 다양한 차별대우
  5. 끝맺는 말

제7장 ‘무엇을 더 바라는가?’: 버려진 탈북자들
  1. 문헌 고찰
  2. 개념적 틀: 인종차별에 대한 사실주의적 관점을 향하여
  3. 연구방법
  4. 분석 결과
  5. 논의 및 끝맺는 말

제8장 케이팝(K-Pop) 민족주의: 한국 미디어 연예인들과 블랙페이스 연기
  1. 졸부적 인종주의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인터넷 공간에서 벌어지는 한국 민족주의에 대한 논쟁
  5. 논의 및 나가는 말

제9장 결론을 대신하여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한국 다문화주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