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 |
|
소개
한국의 경제성장을 이야기할 때 흔히 ‘한강의 기적’이란 표현을 쓰지만, 산업화와 도시화는 수도권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경제성장을 주도한 제조업 발전에 있어서 비수도권 산업 도시들의 역할이 컸고, 여러 기업과 기관이 입지하여 생산과 수출을 원활히 하는 데에 산업단지가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 책은 산업입지에 관심이 있는 한국경제 연구자들을 위해 경제지리학의 핵심 개념인 집적(agglomeration)과 클러스터(cluster)를 설명하면서 한국의 대표적인 산업집적지인 산업단지를 다루었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공식적으로 지정한 산업단지 외에도 자연스럽게 형성되었거나 민간 기업 또는 기관이 주도하는 산업집적지들도 많다. 클러스터는 이를 모두 포함하지만, 이 책에서는 분량과 주제의 한계상 산업단지에 국한하여 설명하였다.
정부 주도의 수출지향 공업화 정책과 하향식 산업단지 지정·개발은 한국 경제발전의 중요한 시발점이 되었다. 더불어 지역과 산업단지에서 기업, 지방정부, 대학과 연구소, 노동자들의 상호 작용과 상향식 발전이 함께 이루어졌기에 오늘날의 경제성장이 가능하였다. 개별 산업단지에서 지역 특유의 자산, 입지 선정 조건, 조성 과정에서의 거버넌스, 주력 업종의 선정과 변화, 입주 기업의 특성과 역할, 기업 간 네트워크와 협력, 지식창출과 혁신성 증대 등이 역동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국내외 경제 및 산업 환경 변화, 한국 기업들의 세계화와 혁신 능력 향상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학사/석사/박사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장(2016~2017) 현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2010~)
주요 논문 및 저서 “‘Follow sourcing’ and the transplantation and localization of Korean electronics corporations in northern Vietnam”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진화와 역동성" "세계경제공간의 변동"(공역) 외 다수
머리말 차례
들어가며
제1장 산업입지와 클러스터 이론 성장거점이론과 불균형 발전 산업입지이론과 집적 경제 클러스터 개념과 이론 변화 제2장 경제발전 정책과 국토 정책 변화 광복 이후 1970년대까지 1980~1990년대 2000년대 이후 제3장 산업 정책 변화와 산업단지의 성장 한국의 경제성장과 산업단지 시기별 산업 정책과 산업단지 개발 클러스터 기반 정책의 변화 제4장 주요 산업단지의 특성과 변화 서울디지털산업단지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구미국가산업단지 나가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